도로 차선의 종류 및 기능

 

 

 

도로로 자동차를 운전하다 보면

 

여러 선들이 보입니다.

 

황색선, 흰선, 실선, 점선등

 

이 선들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흰색 실선

 

 

 

 

 

 

 

실선은 차선의 변경을 금지한다는 표시 입니다.

 

고속도로 나들목 등 옆으로 빠져 나가는 길을 보면

 

점선으로 가다 갈라지는 끝부분에 가서는

 

점선으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꼼수, 새치기를 한다고 갈라지는 앞에 가서

 

깜빡이를 켜고 들어오는 차량이 많은데

 

실선에서 끼어들기는 과태료 대상입니다.

 

블랙박스 영상 첨부하면 범칙금이 똭!!

 

 

 

 

 

 

 

 

 

흰색 점선

 

 

 

 

 

 

점선과 실선의 혼합

 

 

점선(왼쪽)에서 이동중인 차량은 실선(오른쪽)방향으로

 

차선변경이 가능하나 반대로

 

실선(오른쪽)에서 이동중인 차량은 점선(왼쪽)방향으로

 

차선변경이 불가능하다는 표시입니다.

 

지하도가 끝나고 지상과 만나는 지점에서 가끔 볼 수 있답니다.

 

 

 

 

1줄 점선

 

 

양쪽 모두 차선변경 가능

 

 

 

 

 

 

 

 

황색 점선

 

 

황색 역시 흰색과 동일한 의미입니다.

 

단지 이동중인 차선이냐 중앙선이냐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점선과 실선의 혼합

 

 

점선(왼쪽)에서 이동중인 차량은 실선(오른쪽)으로

 

앞차의 추월을 위해 중앙선을 넘을 수 있으나

 

실선(오른쪽)에서 이동중인 차량은 점선(왼쪽)으로

 

앞차를 추월하기 위해 중앙선을 넘을 수 없습니다.

 

 

 

1줄 점선

 

 

양쪽 차선 모두 앞차의 추월을 위해

 

중앙선을 넘을 수 있습니다.

 

 

 

 

황색 실선

 

 

 

 

 

 

실선이 경우에는 중앙선을 넘을 수 없습니다.

 

 

 

 

 

 

 

 

 

합류지점(백색안전지대) 사고 발생시

 

 

얼마전 "비디오머그 블박영상"이라는 프로에서

 

본 내용인데 합류지점사고에 대한 겁니다.

 

 

 

 

 

합류지점에 있는 백색안전지대는 실선입니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실선에서는 차선변경 금지입니다.

 

(1)차량이 실선인 백색안전지대에서 오른편으로

 

끼어들기를 해서 (2)차량이 (1)차량을 피하고자

 

핸들을 꺽어 (3)차량과 추돌사고가 났습니다.

 

어떤 결과가 나와을까요???

 

프로그램에서 한문철 변호사의 의견은

 

(1)차 : 과실 100%

 

(2)차 : 과실 0%

 

(3)차 : 과실 0%

 

 

(1)차의 보험사 측에서는 과실을 인정은 했으나

 

추돌을 한것은 본인이 아니므로 60 : 40 : 0을 주장했으나

 

실선에서 방향지시등(깜빡이)도 켜지 않고 차선을 변경한

 

(1)차에 의해 (2)(3)차의 추돌이 발생한 상황이라

 

100 : 0 : 0 이 맞다고 합니다.

 

지시위반(차선)에 사고를 인지하고도 그냥 가버렸다면

 

뺑소니까지 처벌범위가 넓혀진다고 하니

 

차선의 모양에 항상 주의를 해야 겠습니다.

 

 

관련 동영상입니다.

(http://tv.naver.com/v/1491373)

 

반응형